고나도핀주사액75IU/mL

성분명 : 폴리트로핀(Follitropin)

파프리카케어는 국내 다빈도 처방의약품 순위 상위 95%에 해당하는 의약품에 대한 설명을 자체 제작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의약품에 대한 정보는 '상세설명' 탭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의약품 주의사항
주의사항이 없습니다.
Follitropin : 1등급 , 원칙적 사용금기
주의사항이 없습니다.
주의사항이 없습니다.
주의사항이 없습니다.
주의사항이 없습니다.
건기식 주의사항
파프리카케어 스마트체크 알고리즘으로 주의가 필요한 건강기능식품이 검색되지 않았습니다.
출처 : 파프리카케어, 약학정보원, 식품안전나라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병용 섭취 주의사항”

특장점


주의사항


Warning: Undefined property: stdClass::$description in /home/onions/webroot/pcare-v4/web-www/search/drugs/item.html on line 347

Warning: Attempt to read property "fault" on null in /home/onions/webroot/pcare-v4/web-www/search/drugs/item.html on line 347

Warning: Undefined property: stdClass::$description in /home/onions/webroot/pcare-v4/web-www/search/drugs/item.html on line 350

Warning: Attempt to read property "fault" on null in /home/onions/webroot/pcare-v4/web-www/search/drugs/item.html on line 350


약물작용원리

※해당 정보를 준비중입니다.

출처 : 파프리카케어

처방 질환 순위

해당 약제가 가장 빈번하게 처방되는 질환은 입니다.

출처 : 201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NPS 데이터

제품명

고나도핀주사액75IU/mL


성분 / 함량

Follitropin(Recombinant Human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재조합인난포자극호르몬 75IU/mL


효능 / 효과

다음과 같은 임상적 상황에서 여성의 불임증 치료


1. 보조생식 프로그램(즉,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 IVF/ET, gamete intra-fallopian transfer : GIFT, zygote intra-fallopian transfer : ZIFT,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 ICSI) 실시 중 다수의 난포를 성숙시키기 위한 조절된 난포 과자극(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2. Clomiphene citrate로 치료되지 않은 여성의 무배란증

(다낭성난포질환(PCOD)을 포함하는 WHO 그룹 II에 해당되는 환자들)


용법 / 용량

이 약은 피하주사 혹은 근육주사로 투여될 수 있다.

외인성 성선자극호르몬(chorionic gonadotropin)에 대한 난소의 반응은 개인간(inter-individuals), 개인적(intra-individuals)으로 큰 변화가 있으므로 일정한 용량 일정을 잡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용량은 난소 반응에 따라 개별적으로 결정되어야 하며 이때 초음파 촬영 및 혈중 에스트라디올 농도가 측정되어야 한다.


1. 보조생식술에서 조절된 난포 과자극

주기의 2 혹은 3일째 시작해서 매일 150~225 IU를 투여한다.

치료는 적절한 난포발달이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하는데(혈청 에스트로겐 농도 및/또는 초음파 검사로 모니터), 환자의 반응에 따라 용량을 조절하되, 보통 하루에 450 IU 이상은 사용하지 않는다.

최종 난포성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최종 본제 투여 24~48시간 후 코리오고나도트로핀알파(r-hCG) 250㎍ 또는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hCG)을 최대 10,000 IU 단회 투여한다.

최근에는 내인성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의 급증(surge)을 억제하고 황체형성호르몬의 긴장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효능약(agonist) 또는 길항약(antagonist)으로 하향 조절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흔히 사용되는 치료 주기는 효능약 투여 시작 약 2주 후에 본제 투여를 시작하여 난포가 적절히 발달할 때 까지 계속하는 것이다. 예로, 효능약 투여 2주 후 225 IU를 피하 혹은 근육 내로 7일간 투여한 후 난소의 반응에 따라 용량을 조절한다.


2. 무배란증 (다낭성난포질환(PCOD)을 포함하는 WHO 그룹 II)

이 약의 투여목표는 한개의 성숙된 그라프난포(Graafian follicle)를 발달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약은 매일 투여도 가능한데, 월경중인 환자의 경우 월경주기의 첫 5일 이내에 치료가 시작되어야 한다. 치료는 각 환자의 반응에 따라 적절히 변형시켜야 하며, 각 환자의 반응은 초음파로 측정한 난포크기 와/혹은 에스트로겐 농도로 판단한다.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75 IU를 매일 투여하다가 필요한 경우 7일 또는 14일 간격으로 37.5 IU씩 증량하는 것으로 최대 225 IU까지 투여 가능하며, 치료 5주 후에도 충분한 반응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는 이 치료주기를 중단하고, 투약 계획을 변경하여 더 높은 시작용량으로 재치료를 시작하여야 한다.

적당한 반응이 얻어지면 최종 본제 투여 24~48시간 후 코리오고나도트로핀알파(r-hCG) 250㎍ 또는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hCG)을 5,000~10,000 IU 단회 투여한다.

환자는 코리오고나도트로핀알파(r-hCG) 또는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hCG) 투여일과 그 다음날 성교를 갖도록 추천된다.

만일 과도한 반응이 나타나면 치료를 중단하고 코리오고나도트로핀알파(r-hCG) 또는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hCG)의 투여를 보류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참조). 과반응에 의한 hCG 투여 취소 시 다음 주기에서는 이전 주기에 사용했던 것보다 저용량으로 투여를 시작한다.


제조 / 수입사

동아에스티


복약지도

- 반드시 경험있는 의사의 지시 및 감독 하에 투여하세요.
- 발진, 발적,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과량으로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포장이 손상된 경우에는 사용하지 마세요.


저장방법

밀봉용기,2~8℃보관

출처 : 약학정보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