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약품 검색
- 리페리달정3mg
성분명 : 리스페리돈(Risperidone)


생각과 기분 조절을 도와줍니다.
리페리달정3mg은 조현병, 조증 및 자폐증과 관련된 과민증(흥분)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같은 계열의 다른 새로운 약물들에 비해 체중 증가나 호르몬 문제등의 부작용을 더 많이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장점
리페리달정3mg은 정신병적 증상, 조증, 과민증(흥분) 및 공격적인 행동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조현병 및 자폐증과 관련된 과민증 (흥분) 환자의 재발율을 낮춰줍니다.
다른 항정신병제와 비교하여 심장 질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습니다.
다른 항정신병약과 비교하여 리페리달정3mg은 진정작용 및 체중증가를 적게 일으킵니다.
주의사항
경증-중등도의 추체외로 증상 (EPS; 경직, 떨림, 차분하지못함, 느리고 반복적인 행동, 비자발적운동을 일으키는 움직임 장애)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체중증가나 콜레스테롤, 혈당과 관련된 문제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다른 항정신병약과 비교하여 리페리달정3mg은 남성의 여성형 유방 또는 유즙 분비등의 호르몬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약물의 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정기적인 혈액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최대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 4주~6주 가량 소요됩니다.
약물작용원리
리페리달정3mg은 비정형 항정신병약으로 생각과 기분에 영향을 주는 뇌의 세로토닌과 도파민 활성을 조절해줍니다.


처방 질환 순위
해당 약제가 가장 빈번하게 처방되는 질환은 정신분열증 입니다.
-
1 정신분열증66%
-
2 양극성 정동 장애6%
-
3 분열정동성 장애3%
-
4 상세불명의 비기질성 정신병3%
-
5 반응성 우울증의 단일 에피소드3%
-
etc 기타19%

제품명
리페리달정3mg
성분 / 함량
Risperidone 리스페리돈 3mg
효능 / 효과
1. 정신분열병
3. 양극성장애과 관련된 조증삽화의 치료를 위한 기분안정제의 부가요법
4. 파괴적 행동 (공격성, 충동성 및 자해적 행동)이 두드러지는 정신지체 또는 평균 이하의 지적 능력을 갖는 소아, 청소년 및 성인의 행동장애(conduct disorder)와 기타 파탄적 행동장애(disruptive behavior disorder)의 치료
용법 / 용량
이 약의 치료 용량은 환자의 임상 상태에 따라 조절되어져야 하며, 가능한 최소 유효량을 투여해야 한다.
1. 정신분열병
1) 성인
(1) 초기용량 : 리스페리돈으로서 1회 1 mg을 1일 2회 경구투여하고 서서히 증량한다.
(2) 유지용량 : 1회 1∼3 mg을 1일 2회 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한다.
(3) 1일 10 mg 이상 투여 시 저용량 투여 시에 비해 추가적인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고 추체외로증상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1일 10 mg 이상은 개별 환자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해야 한다.
(4) 1일 16 mg 이상 투여는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여하지 않는다.
(5) 추가적인 진정효과가 필요한 경우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병용투여할 수 있다.
2) 특이집단에서의 투여
⦁고령자 및 저혈압 소인이 있는 환자
초기용량은 1회 0.5 mg 1일 2회 투여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1회 1~2 mg 1일 2회 투여가 될 때까지 0.5 mg 씩 1일 2회 증량한다. 1회 1.5 mg이상 1일 2회 용량으로의 증량은 일반적으로 최소 1주 간격으로 한다.
⦁ 소아 및 15세 미만의 청소년에 대한 임상 경험이 부족하다.
3) 기존의 항정신병 약물로부터 이 약으로 전환하는 경우
의학적으로 적당한 경우 기존 약물의 용량을 서서히 줄이면서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하도록 한다. 또한 의학적으로 적당한 경우 기존의 데포 항정신병약물로부터 전환할 때에는 데포제제의 예정된 다음 주사를 대신하여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한다. 병용중인 항파킨슨제의 투약을 지속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기적으로 재평가해야 한다.
2. 알츠하이머 형태의 치매 환자의 초조, 공격성 또는 정신병 증상
초기용량은 이 약으로서 1회 0.25 mg을 1일 2회 투여한다. 환자에 따라 필요한 경우 최소한 2일 이상의 간격으로 1회 0.25 mg을 1일 2회씩 증량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최적용량은 1회 0.5 mg을 1일 2회 투여이지만 환자에 따라 1회 1 mg을 1일 2회까지 증량할 수 있다. 환자가 최적 용량에 도달하면 1일 1회 투여 요법도 고려할 수 있다. 대증요법과 마찬가지로 이 약의 지속적 사용에 대한 타당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3. 양극성장애의 조증 부가요법
⦁ 초기 용량은 이 약으로서 1일 1회 2 mg 투여를 권장한다. 환자에 따라 2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1일 1 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최적용량은 1일 2∼6 mg 범위 내에 있다. 대증요법과 마찬가지로 이 약의 지속적 사용에 대한 타당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 소아 및 15세 미만의 청소년에 대한 임상경험이 부족하다.
4. 행동장애와 기타 파탄적 행동장애
- 체중 50 kg 이상
초기용량은 이 약으로서 0.5 mg을 1일 1회 투여한다. 환자에 따라 필요한 경우 최소한 2일 이상의 간격으로 1일 0.5 mg씩 증량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 최적 용량은 1 mg 1일 1회 투여이다. 환자에 따라 0.5∼1.5 mg을 1일 1회 투여할 수 있다.
- 체중 50 kg 미만
초기용량은 0.25 mg을 1일 1회 투여한다. 환자에 따라 필요한 경우 최소한 2일 이상의 간격으로 1일 0.25 mg씩 증량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 최적 용량은 0.5 mg 1일 1회 투여이다. 환자에 따라 0.25∼0.75 mg을 1일 1회 투여 할 수 있다. 대증요법과 마찬가지로 이 약의 지속적 사용에 대한 타당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 5세 미만의 소아에 대한 임상 경험이 부족하다.
신장애 및 간장애
신기능 장애 혹은 간기능 장애 환자에게는 초기 용량과 유지 용량을 절반으로 투여하고 용량 조절을 더욱 서서히 한다. 이들 환자에게는 이 약을 투여하는 경우 주의한다. (5. 일반적 주의 참고)
제조 / 수입사
동국제약
복약지도


- 손발떨림, 안면경련, 운동장애가 나타나면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장시간 눕거나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는 경우 천천히 일어나세요.
- 유즙분비, 월경불순 등이 나타날 경우에는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졸음이 올 수 있으므로 운전, 위험한 기계조작시 주의하세요.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30℃) 보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