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펀주70mg

성분명 : 카스포펀진(Caspofungin)

진균(곰팡이) 감염을 치료해줍니다.

카스펀주70mg은 심각한 진균(곰팡이) 감염 치료를 위해 다른 항진균제(암포테리신 B 또는 이트라코나졸)를 먼저 사용해도 효과가 없을때 이차적으로 쓰이는 주사제 입니다.

의약품 주의사항
주의사항이 없습니다.
Caspofungin : 2등급 , 명확한 임상적 근거 또는 사유가 있는 경우 부득이하게 사용
주의사항이 없습니다.
주의사항이 없습니다.
주의사항이 없습니다.
주의사항이 없습니다.
건기식 주의사항
파프리카케어 스마트체크 알고리즘으로 주의가 필요한 건강기능식품이 검색되지 않았습니다.
출처 : 파프리카케어, 약학정보원, 식품안전나라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병용 섭취 주의사항”

특장점

카스펀주70mg은 다른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심각한 진균(곰팡이) 감염 치료에 쓰입니다.

하루에 한 번 주사합니다.


주의사항

카스펀주70mg은 주사제로만 있습니다.

주사제이므로 보존제가 들어있지 않아 오래 놔두면 세균이 자랄수 있으므로, 준비되면 바로 사용해야합니다.

카스펀주70mg이 일으키는 부작용 때문에 1차 치료제로 쓰이지 않고, 다른 약들이 효과가 없을때만 쓰입니다.


약물작용원리

카스펀주70mg은 진균(곰팡이)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출처 : 파프리카케어

처방 질환 순위

해당 약제가 가장 빈번하게 처방되는 질환은 골수성 백혈병 입니다.

  • 1 골수성 백혈병
     
    19%
  • 2 미만성 비호지킨 림프종
     
    12%
  • 3 림프성 백혈병
     
    10%
  • 4 질병분류기호 누락
     
    4%
  • 5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4%
  • etc 기타
     
    52%
출처 : 201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NPS 데이터

제품명

카스펀주70mg


성분 / 함량

Caspofungin Acetate 카스포펀진아세테이트 77.7mg (무수카스포펀진(으)로서 70mg)


효능 / 효과

1. 진균감염이 의심되는 발열성 호중구감소증의 경험적 치료

2. 칸디다혈증 및 다음의 칸디다 감염증의 치료 : 복부내농양, 복막염 및 흉막내 감염. 이 약은 칸디다(Candida)에 의한 심내막염, 골수염 및 수막염에 대하여 연구된 바 없다.

3. 식도칸디다증의 치료

4. 침입성 아스페르질루스증의 치료 : 다른 치료요법에 의해 치료되지 않거나 이상반응으로 인해 다른 치료요법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이 약은 침입성 아스페르질루스증에 대한 초기요법으로서 사용경험이 없다.


용법 / 용량

○ 성인에서의 권장용량 18세 이상 성인에서 이 약은 약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정맥 주입한다. 유지 용량은(대부분의 적응증에 대하여 초회량으로 카스포펀진으로서 70 mg 투여 후) 카스포펀진으로서 1일 1회 50 mg 이다.

1. 진균감염이 의심되는 발열성 호중구감소증의 경험적 치료 : 카스포펀진으로서 치료 첫날 초회량으로 70 mg을 단회 투여후 둘째 날부터 1일 1회 50 mg씩을 유지용량으로 투여한다. 이 약의 투여기간은 환자의 임상적 결과에 따라 결정한다. 이 적응증은 호중구감소증이 해소될 때까지 투여해야 한다. 진균감염이 확진된 환자의 경우, 최소 14일 이상 치료하여야 하며, 호중구감소증과 임상 증상이 해소된 이후 최소 7일 이상 치료하여야 한다. 이 약 50 mg 투여로 충분한 임상적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환자의 내약성에 따라 1일 용량을 70 mg으로 증량할 수 있다.

2. 칸디다혈증 및 기타 칸디다 감염증 : 이 약으로서 치료 첫날 초회량으로 70 mg을 단회 투여후 둘째 날부터 1일 1회 50 mg씩을 유지용량으로 투여한다. 이 약의 투여기간은 환자의 임상적 결과와 미생물학적 반응에 따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항진균요법은 균배양시 최종적으로 양성 결과가 나온 후 최소 14일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호중구 감소증상이 개선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치료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3. 식도칸디다증 : 증상 해소 이후 7 ~ 14일 동안 이 약으로서 1일 1회 50 mg을 투여한다. 이 적응증에서 초회량으로 70 mg요법은 연구되지 않았다.

4. 침입성 아스페르질루스증 : 이 약으로서 치료 첫날 초회량으로 70 mg을 단회 투여후 둘째 날부터 1일 1회 50 mg씩을 유지용량으로 투여한다. 이 약의 투여기간은 환자의 기저질환의 중증도, 면역억제 회복정도, 임상반응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간장애 환자 : 경증의 성인 간장애 환자(Child-Pugh 지수 5 ~ 6)는 용량을 조절하지 않아도 된다. 약동학 결과에 따라 중등도의 성인 간장애 환자(Child-Pugh 지수 7 ~ 9)는 이 약으로서 1일 1회 35 mg이 권장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투여 첫날 초회량으로 이 약으로서 70 mg을 투여하여야 한다. 중증의 성인 간장애 환자(Child-Pugh 지수 9 초과)와 소아 간장애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한 임상 경험은 없다.

○ 약물대사유도제 투여 환자 : 리팜피신을 복용하는 성인 환자는 이 약을 1일 1회 70 mg 투여하여야 한다. 네비라핀, 에파비렌즈, 카르마바제핀, 덱사메타손 또는 페니토인을 복용하는 성인 환자는 이 약을 1일 1회 70 mg으로 용량을 증가하여 투여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 주입액의 조제 :다른 정맥내 물질이나 첨가제 또는 다른 제제와의 양립성에 대한 자료가 없으므로, 이 약을 다른 약과 섞거나 다른 약과 동시에 주입해서는 안되며, 이 약은 포도당을 함유하는 희석제 내에서 안정하지 않으므로 포도당을 함유하는 희석제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 성인에서의 주입액의 조제

1. 성인에서의 70 mg 주입액의 조제

1) 냉장 보관한 바이알을 실온이 되도록 방치한다.

2) 용해 : 생리식염 주사액, 멸균주사용수,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이 함유된 정균주사용수 또는 0.9 % 벤질알코올이 함유된 정균주사용수 10.5 mL을 무균조작으로 바이알에 넣는다.a 이 약의 용해액은 25 °C 이하에서 24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다.b

3) 희석 : 이 약의 용해액 10 mLc을 0.9 %, 0.45 % 또는 0.225 % 염화나트륨 정맥주사액 또는 하트만용액(Lactate-Ringer’s Injection) 250 mL이 들어있는 정맥주사용 용기(Bag 또는 병)에 무균조작으로 옮긴다. 이 주입액은 25 °C이하에서 보관시 24시간, 냉장보관(2 ~ 8 °C)시 48시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이 약 70 mg 주가 없을 경우 아래의 조제법과 같이 50 mg 주 두 바이알로부터 70 mg 주입액을 조제한다.).

2. 성인에서의 50 mg 주입액의 조제

1) 냉장 보관한 바이알을 실온이 되도록 방치한다.

2) 용해 : 생리식염 주사액, 멸균주사용수,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이 함유된 정균주사용수 또는 0.9 % 벤질알코올이 함유된 정균주사용수 10.5 mL을 무균조작으로 바이알에 넣는다.a 이 약의 용해액은 25 °C 이하에서 24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다.b

3)희석 : 이 약의 용해액 10 mLc을 0.9 %, 0.45 % 또는 0.225 % 염화나트륨 정맥주사액, 또는 하트만용액 250 mL이 들어있는 정맥주사용 용기(Bag 또는 병)에 무균조작으로 옮긴다. 이 주입액은 25 °C이하에서 보관시 24시간, 냉장보관(2 ~ 8 °C)시 48시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의학적으로 주입액을 감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아래의 조제법 중 50 mg 감량주입액의 조제 항에 따른다).

3. 이 약 50 mg 주 2바이알로부터 70 mg 주입액의 조제 50 mg 바이알 2개로부터 각각 10.5 mL 희석액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성인에서의 50 mg 주입액의 조제 참조), 용해액 총 14 mL을 취해 0.9 %, 0.45 % 또는 0.225 % 염화나트륨 주사액, 또는 하트만용액 250 mL에 무균조작으로 옮겨 희석한다.

4. 50 mg 감량주입액의 조제 의학적으로 필요한 경우 이 약 용해액 10 mL를 0.9 %, 0.45 % 또는 0.225 % 염화나트륨 주사액, 또는 하트만용액 100mL에 희석하여 조제할 수 있다(성인에서의 50 mg 주입액의 조제 참조).

5. 중등도 간장애 환자를 위한 35 mg 1일용량 주입액의 조제

이 약 50 mg 주를 용해시킨다(위의 성인에서의 50 mg 주입액의 조제 참조). 용해액 7 mL를 0.9 %, 0.45 % 또는 0.225 % 염화나트륨 주사액, 또는 하트만용액 250mL 또는 의학적으로 필요한 경우, 100 mL에 무균적으로 옮겨 희석한다.






주:


a. 백색 내지 회백색의 덩어리가 완전히 녹아서 투명한 용액이 될 때까지 가볍게 섞는다.


b. 용해중 또는 주입전 용해액에 불용성이물 또는 변색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한다. 용액이 혼탁하거나 침전이 있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다.


c. 이 약은 바이알에서 10 mL를 취할 경우 표시량(70 mg 또는 50 mg)의 주성분을 함유하도록 충진 되어 있다.

표 1. 성인에서의 이 약의 주 농도









































용량


희석에 사용되는


용해액용량 (mL)


용해액농도 (mg/mL)


주입용량


(mL)


주입액농도


(mg/mL)


70 mg 초회투여


10


7.2


260


0.28


50 mg 유지투여


10


5.2


260


0.20


70 mg 초회투여*


(50 mg 주 2 바이알로 조제)


14


5.2


264


0.28


50 mg 유지투여*(감량주입)


10


5.2


110


0.47


중등도간장애환자에 35 mg 유지투여* (50 mg 주 1 바이알로 조제)


7


5.2


257


또는


107


0.14


또는


0.34


* 본문의 조제법 참조

○ 소아에서의 권장용량3개월에서 17세의 소아에서 이 약은 약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정맥 주입한다. 소아환자의 용량은 환자의 체표면적(Body Surface Area(BSA), 아래의 Mosteller Formulation참조)에 근거하여야 한다. 모든 적응증에 대하여 치료 첫날 초회량으로 70 mg/m2(실제 양이 1일 70 mg을 넘지 않음)를 단회투여 후 둘째 날부터 1일 1회 50 mg/m2를 유지한다(실제 양이 1일 70 mg을 넘지 않음). 이 약의 투여기간은 성인에서의 각 적응증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환자의 질환에 따라 결정된다(위 참조).1일 50 mg/m2요법이 내약성은 좋으나 적절한 임상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1일 용량은 70 mg/m2(실제 양이 1일 70 mg을 넘지 않음)로 증량할 수 있다.

○ 약물대사유도제 투여환자 : 리팜피신, 에파비렌즈, 네비라핀, 페니토인, 덱사메타손 또는 카르바마제핀과 같은 약물대사유도제를 복용하는 소아 환자는 이 약을 1일 1회 70 mg/m2(실제 양이 1일 70 mg을 넘지 않음)투여하여야 한다.

○ 소아에서의 주입액의 조제소아 용량을 위한 체표면적(BSA) 계산주입 준비 전, 환자의 체표면적(BSA)를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Mosteller Formula)


1. 3개월 이상 소아에서의 70 mg/m2 주입액의 조제(70 mg 바이알 사용)

1) 환자의 BSA(위의 식으로 계산)와 아래 식에 따라 소아 환자에게 사용될 실제 초회량을 결정한다:BSA (m2) × 70 mg/m^2 = 초회량첫날 최대 초회량은 환자의 계산된 용량과 관계없이 70 mg을 초과하면 안된다.

2) 냉장 보관한 바이알을 실온이 되도록 방치한다.

3) 용해 : 생리식염 주사액, 멸균주사용수,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이 함유된 정균주사용수 또는 0.9 % 벤질알코올이 함유된 정균주사용수 10.5 mL을 무균조작으로 바이알에 넣는다.a 이 약의 용해액은 25 °C 이하에서 24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다.b 최종농도는 바이알에서 7.2 mg/mL이다.

4) 희석 : 이 약의 용해액 10 mLc을 0.9 %, 0.45 % 또는 0.225 % 염화나트륨 정맥주사액 또는 하트만용액 250 mL이 들어있는 정맥주사용 용기(Bag 또는 병)에 무균조작으로 옮긴다. 또는 이 약의 용해액c은 감량한 0.9 %, 0.45 % 또는 0.225 % 염화나트륨 정맥주사액 또는 하트만용액에 넣을 수 있으며, 최종농도가 0.5 mg/mL을 초과하지 않는다. 이 주입액은 25 °C이하에서 보관시 24시간, 냉장보관(2 ~ 8 °C)시 48시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5) 계산된 초회량이 50 mg 미만이면 50 mg 주 바이알로부터 주입액을 조제한다(3개월 이상 소아에서의 50 mg/m2 주입액의 조제(50 mg 바이알 사용) 참조). 최종 농도는 50 mg 바이알에서 용해 후 5.2 mg/mL이다.

2. 3개월 이상 소아에서의 50 mg/m2 주입액의 조제(50 mg 바이알 사용)

1) 환자의 BSA(위의 식으로 계산)와 아래 식에 따라 소아 환자에게 사용될 1일 유지량을 결정한다 :BSA (m2) × 50 mg/m^2 = 유지용량1일 유지용량은 환자의 계산된 용량과 관계없이 70 mg을 초과하면 안된다.

2) 냉장 보관한 바이알을 실온이 되도록 방치한다.

3) 용해 : 생리식염 주사액, 멸균주사용수,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이 함유된 정균주사용수 또는 0.9 % 벤질알코올이 함유된 정균주사용수 10.5 mL을 무균조작으로 바이알에 넣는다.a 이 약의 용해액은 25 °C 이하에서 24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다.b 최종농도는 바이알에서 5.2 mg/mL이다.

4) 희석 : 이 약의 용해액 10mLc을 0.9 %, 0.4 5% 또는 0.225 % 염화나트륨 정맥주사액 또는 하트만용액 250 mL이 들어있는 정맥주사용 용기(Bag 또는 병)에 무균조작으로 옮긴다. 최종농도 0.5 mg/mL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 주입액은 25 °C이하에서 보관시 24시간, 냉장보관(2 ~ 8 °C)시 48시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5) 실제 1일 유지용량이 50 mg을 초과하면 70 mg 주 바이알로부터 주입액을 조제한다(위의 3개월 이상 소아에서의 70 mg/m^2 주입액의 조제(70 mg 바이알 사용) 참조). 최종 농도는 70 mg 바이알에서 용해 후 7.2 mg/mL이다.


제조 / 수입사

삼천당제약


복약지도

- 반드시 경험있는 의사의 지시 및 감독 하에 투여하세요.
- 발진, 발적,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과량으로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포장이 손상된 경우에는 사용하지 마세요.


저장방법

밀봉용기, 냉장(2~8℃) 보관

출처 : 약학정보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