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약품 검색
- 릭시아나정15mg
성분명 : 에독사반(Edoxaban)


혈전 생성을 예방시켜줍니다.
릭시아나정15mg은 음식제한이나 빈번한 혈액검사 없이 혈전(피가 뭉쳐서 굳은 것)의 생성을 예방합니다. 하지만, 과용량을 먹었을 시 처치가 어렵습니다.


특장점
뇌졸중이나 혈전생성을 예방하기 위한 다른 약들과 같이 효과적입니다.
와파린 처럼 빈번한 혈액 검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와파린 처럼 음식 제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주의사항
릭시아나정15mg의 복용은 출혈과 멍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아스피린, 이부프로펜같은 소염제들과 병용 시 출혈과 멍의 위험이 더 증가합니다.
신장 기능이 매우 좋다면 적절한 혈중 약물 농도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약을 복용하기 전에 신장 기능을 검사해야 합니다.
기계식 인공심장판막을 달거나 판막성 심방세동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릭시아나정15mg에 대한 해독제는 없습니다.
약물작용원리
릭시아나정15mg은 항응고제입니다. 혈전이 형성되거나 더 커지는 것을 막아 뇌졸중과 부정맥 환자(비판막성 심방세동)에서 혈전 생성의 위험을 줄여줍니다.


처방 질환 순위
해당 약제가 가장 빈번하게 처방되는 질환은 심방세동 및 조동 입니다.
-
1 심방세동 및 조동44%
-
2 뇌경색(증)13%
-
3 지단백질 대사 장애 및 기타 지혈증3%
-
4 전립선의 비대(양성)3%
-
5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3%
-
etc 기타33%

제품명
릭시아나정15mg
성분 / 함량
Edoxaban Tosylate Hydrate 에독사반토실산염수화물 20.205mg (에독사반(으)로서 15mg)
효능 / 효과
1.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의 위험 감소
3. 심재성 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의 재발 위험 감소
용법 / 용량
이 약은 식사와 상관없이 물과 함께 투여한다.
1. 성인
1)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의 위험 감소
• 체중 60kg 이하 : 이 약의 권장용량은 1일 1회 30mg이다.
• 체중 60kg 초과 : 이 약의 권장용량은 1일 1회 60mg이다.
다만,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의 요인을 가진 환자의 경우, 이 약의 권장용량은 1일 1회 30mg이다.
? 중등증 ∼ 중증의 신장애 (15 ≤ CrCL ≤ 50mL/min)
? P-gp 저해제(사이클로스포린, 드로네다론, 에리트로마이신, 케토코나졸) 병용
출혈 위험성이 높은 고령자의 경우 연령 및 상태에 따라 1일 1회 15mg으로 투여할 수 있다.
(사용상의 주의사항‘9. 고령자에 대한 투여’ 항 참조)
2) 심재성 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의 치료/심재성 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의 재발 위험 감소
최소 5일간의 비경구 항응고제 사용 후 이 약을 투여한다.
• 체중 60kg 이하 : 이 약의 권장용량은 1일 1회 30mg이다.
• 체중 60kg 초과 : 이 약의 권장용량은 1일 1회 60mg이다.
다만,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의 요인을 가진 환자의 경우, 이 약의 권장용량은 1일 1회 30mg이다.
? 중등증 ∼ 중증의 신장애 (15 ≤ CrCL ≤ 50mL/min)
? P-gp 저해제(사이클로스포린, 드로네다론, 에리트로마이신, 케토코나졸) 병용
2. 약물의 전환
2.1 다른 약물에서 이 약으로의 전환
1) 비타민 K 길항제에서 이 약으로의 전환
비타민 K 길항제 치료를 중단하고 국제표준화비율(INR,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이 2.5 이하일 때 이 약 투여를 시작한다.
2) 비타민 K 길항제가 아닌 경구용 항응고제(다비가트란, 리바록사반, 아픽사반)에서 이 약으로의 전환
경구용 항응고제 치료를 중단하고, 경구용 항응고제의 다음 투여 시점에 이 약 투여를 시작한다.
3) 비경구 항응고제에서 이 약으로의 전환
(1) 저분자량 헤파린(LMWH)
LMWH 투여를 중단하고, LMWH의 다음 투여 시점에 이 약 투여를 시작한다.
(2) 미분획 헤파린(UFH)
UFH 정맥 내 점적투여를 중단하고, 4시간 후에 이 약 투여를 시작한다.
2.2 이 약에서 다른 약물로의 전환
1) 이 약에서 비타민 K 길항제로의 전환
이 약에서 비타민 K 길항제로 전환하는 동안 부적절한 항응고가 일어날 수 있다. 다른 항응고제로 전환하는 동안에는 적절한 항응고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1) 경구적 선택
이 약 60mg을 투여 중인 환자의 경우, 적절한 용량의 비타민 K 길항제와 함께 이 약을 1일 1회 30mg 투여한다. 이 약 30mg을 투여 중인 환자의 경우, 적절한 용량의 비타민 K 길항제와 함께 이 약을 1일 1회 15mg 투여한다.
병용투여 기간의 첫 14일에는 최소 3회 이상 INR을 측정할 것이 권장되며 이 때, 이 약이 INR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 약 투여 전에 측정해야 한다. INR ≥ 2.0에 안정적으로 도달하면 이 약 투여를 중단하고 비타민 K 길항제 치료를 지속한다.
(2) 비경구적 선택
이 약 투여를 중단하고 이 약의 다음 투여 시점에 비경구 항응고제와 비타민 K 길항제를 투여한다. INR ≥ 2.0에 안정적으로 도달하면 비경구 항응고제를 중단하고 비타민 K 길항제 치료를 지속한다.
2) 이 약에서 비타민 K 길항제가 아닌 경구용 항응고제(다비가트란, 리바록사반, 아픽사반)로의 전환
이 약 투여를 중단하고, 이 약의 다음 투여 시점에 경구용 항응고제 투여를 시작한다.
3) 이 약에서 비경구 항응고제로의 전환
이 약 투여를 중단하고, 이 약의 다음 투여 시점에 비경구 항응고제 투여를 시작한다.
3. 신장애 환자
경증의 신장애 환자(50 < CrCL ≤ 80mL/min)에서 이 약의 용량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중등증 ∼ 중증의 신장애 환자(15 ≤ CrCL ≤ 50mL/min)에서 이 약의 권장용량은 1일 1회 30mg이다.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의 위험 감소를 위해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15 ≤ CrCL < 30mL/min인 출혈 위험성이 높은 고령자의 경우 연령 및 상태에 따라 1일 1회 15mg 투여를 고려해야 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9. 고령자에 대한 투여’항 참조).
4. 이 약의 복용을 잊었을 경우
이 약의 복용을 잊었을 경우에는 당일 즉시 이 약을 복용해야 하며 그 다음날에는 권장되는 용법ㆍ용량에 따라 복용한다. 놓친 용량을 보충하기 위해 1일 권장용량의 두 배로 복용해서는 안된다.
5. 정제를 삼킬 수 없는 환자
정제를 삼킬 수 없는 환자의 경우, 사용 직전에 이 약을 부수어 물 또는 사과소스와 같은 음료에 섞어서 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약을 부수어 소량의 물에 현탁하여 코위영양관을 통해 투여한 후 코위영양관에 물을 흘려 보내야 한다. 분쇄한 이 약은 물과 사과소스에서 최대 4시간까지 안정적이다.
제조 / 수입사
한국다이이찌산쿄
복약지도

- 출혈의 징후에 대해 주의깊게 관찰하세요
- 소염진통제와 병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수술 전 반드시 이 약의 복용사실을 담당의에게 알리세요.
- 임산부, 수유부는 투여하지 마세요.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30℃) 보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