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약품 검색
- 독소루신주10mg(수출용)
성분명 : (해당 정보는 준비중입니다)

파프리카케어는 국내 다빈도 처방의약품 순위 상위 95%에 해당하는 의약품에 대한 설명을 자체 제작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의약품에 대한 정보는 '상세설명' 탭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특장점
주의사항
약물작용원리
※해당 정보를 준비중입니다.


처방 질환 순위
해당 약제가 가장 빈번하게 처방되는 질환은 입니다.

제품명
독소루신주10mg(수출용)
성분 / 함량
Doxorubicin Hydrochloride 독소루비신염산염 10mg
효능 / 효과
악성 림프종(림프육종, 호지킨병 및 비호지킨병), 소화기암(위암, 간암, 직장암, 담낭 및 담관암, 결장암, 췌장암), 급성골수성백혈병, 연조직골육종, 유방암, 난소암, 폐암, 기관지암, 방광암, 윌름즈종양
1. 이전의 병용 화학요법으로 질환이 계속 진행되거나 과민반응을 보이는 환자에서 AIDS 관련성 카포시 육종
2. 파크리탁셀 또는 백금착제 항암제를 포함하는 화학요법제에 반응이 없는 전이성 난소암
용법 / 용량
○ 성인 : 투여용량은 종양의 종류, 간기능, 항암제 치료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다음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한다.
1) 염산독소루비신으로서 1일 1회 60~75 mg(역가)/m2을 정맥주사하고 3주간 휴약한다. 이 방법을 1주기로 하여 반복한다.
2) 1일 1회 20~25mg(역가)/m2을 3일간 연일 정맥주사하고 3주간 휴약한다. 이 방법을 1주기로 하여 반복한다.
2. 체중기준(Kg)
1) 1일 체중 Kg당 1.2~2.4mg(역가)을 1회 정맥주사하고 3주간 휴약한다. 이 방법을 1주기로 하여 반복한다.
2) 1일 체중 Kg당 0.4~0.8mg(역가)을 1회 3일간 연일 정맥주사하고 3주간 휴약한다. 이 방법을 1주기로 하여 반복한다.
3. 다른 항암제와 병용요법시
1일 1회 30~40mg(역가)/m2으로 감량하여 정맥주사하고 3주간 휴약하거나 선택된 병용요법에 따라 조절한다.
4. 간장애 환자
간장애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 그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감량하여 투여한다.
1) 중등도(혈청빌리루빈 농도가 1.2~3mg /100mL 또는 BSP 저류가 9~15%) : 정상용량의 1/2로 감량하여 투여한다.
2) 중증(혈청빌리루빈 농도가 3.0mg/100 mL 이상 또는 BSP 저류가 15% 이상) : 정상용량의 1/4로 감량하여 투여한다.
총투여량이 550mg(역가)/m2을 넘지 않도록 한다.
이 약은 반드시 정맥주사한다.
5. 투여방법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5% 포도당 주사액 150~250mL를 자유조절식 정맥수주관을 사용하여 수주하다가 이 약을 2~5분 이상에 걸쳐서 천천히 수주관내로 주사한 후 다시 생리식염주사액의 수주를 계속하여 수주관내의 이 약이 완전히 세척되어 주입되도록 한다. 이 방법은 중중의 정맥주위염과 발포진을 일으킬 수 있는 혈전증이나 정맥주위염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이 약이 정맥 외로 넘치게 되면 자극감이나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다른 정맥에 재주사하여야 한다.
이 약은 다른 항암제와 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수주관 또는 주사기를 사용하여 다른 약물(특히 헤파린)을 투여하는 것은 절대로 피해야 한다.
(케릭스주사-쉐링푸라우코리아)
1. AIDS관련 카포시 육종환자
염산독소루비신으로서 20mg(역가)/m2을 30분이상에 걸쳐 정맥주사한다. 환자의 치료반응 및 내약성이 만족스러우면 3주 간격으로 반복한다.
2. 난소암 환자
주입 반응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기 속도를 1mg/min으로 하여 염산 독소루비신으로서 50mg(역가)/m2을 정맥주사 해야한다.
다음의 경우에는 투여량을 변경한다. <표 1, 2, 3>
<표 1>
수족 지각 부전 | ||
독성등급 | 증후 | 용량 변경 |
1 | 일상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경증의 홍반, 종창, 박리 | 환자가 3, 4등급의 독성을 경험하지 않은 경우 재투약한다. 3, 4등급의 독성을 나타낸 경우 2주간 투약을 연기한 후 용량을 25% 감소시킨다. 최초의 투약 간격으로 돌아간다. |
2 | 정상 신체 활동에 지장을 주지만 불능하게 하지 않는 홍반, 종창, 박리 : 지름 2cm미만의 작은 수포나 궤양 | 2주간 혹은 독성이 0~1등급으로 경감될 때까지 투약을 연기한다. 2주 후 경감되지 않으면 투약을 중단한다. |
3 | 보행이나 정상적 일상 활동에 지장을 주는 수포, 궤양 또는 종창 : 의복 착용 불능 | 2주간 혹은 독성이 0~1등급으로 경감될 때까지 투약을 연기한다. 25% 감량 투여하고 최초의 투약 간격으로 돌아간다. 2주 후 경감되지 않으면 투약을 중단한다. |
4 | 감염 복합증이나 침상생활 또는 입원하게 하는 확산이나 국소화 과정 |
혈 액 학 적 독 성 | |||
독성등급 | 절대호중구수(세포/㎣) | 혈소판 (세포/㎣) | 변경 |
1 | 1,500~ 1,900 | 75,000~ 150,000 | 동일하게 투여 |
2 | 1,000~ <1,500 | 50,000~ <75,000 | 절대호중구수가 ≥1500이고, 혈소판이 ≥75000이 될 때까지 기다린 후, 용량 감소 없이 재투여한다. |
3 | 500~999 | 25,000~ <50,000 | 절대호중구수가 ≥1500이고, 혈소판이 ≥75000이 될 때까지 기다린 후, 용량 감소 없이 재투여한다. |
4 | <500 | <25,000 | 절대호중구수가 ≥1500이고, 혈소판이 ≥75000일 때까지 기다린 후 25% 감량 투여하거나 cytokine 보조제와 함께 전량 투여한다. |
구 내 염 | ||
독성등급 | 증후 | 변경 |
1 | 무통성 궤양, 홍반 또는 가벼운 통증 | 환자가 3, 4등급의 독성을 경험하지 않았다면 재투여 한다. 3, 4 등급의 독성을 나타내었다면, 2주간 투약을 연기하고 25% 감량 투여한다. 최초의 투약 간격으로 돌아간다. |
2 | 통증성 홍반, 부종, 또는 궤양, 식사가능 | 2주간 혹은 독성이 0~1등급으로 경감될 때까지 투약을 연기한다. 2주 후에 경감되지 않으면 투약을 중단한다. |
3 | 통증성 홍반, 부종, 또는 궤양, 식사불능 | 2주간 혹은 독성이 0~1등급으로 경감될 때까지 투약을 연기한다. 25% 감량 투여하고 최초의 투약 간격으로 돌아간다. 2주 후에 경감되지 않으면 투약을 중단한다. |
4 | 비경구적 또는 장관내 주입이 요구되는 경우 |
: 간장애 환자에 이 약을 투약한 임상경험은 부족하다. 독소루비신의 사용례에 근거하여, 빌리루빈 수치가 다음과 같이 상승할 경우 이 약을 감량할 것이 권장된다. : 혈청 빌리루빈치가 1.2~3.0mg/dL인 경우에는 50%감량하고 3mg/dL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75% 감량한다.
<이 약의 조제법>
이 약의 적절한 용량은 최대 90mg까지 5% 포도당 주사액 250mL에 희석해야 한다. 기타 약물과 혼합하거나 5% 포도당 주사액 이외의 희석제와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제조 / 수입사
한국코러스
복약지도

- 반드시 경험있는 의사의 지시 및 감독 하에 투여하세요.
- 발진, 발적,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과량으로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포장이 손상된 경우에는 사용하지 마세요.
저장방법
밀봉용기, 냉암소보관

